이 책 어때?

[책] 스티븐 킹의 『유혹하는 글쓰기』 - 창작에 대한 새로운 시각

설왕은 2025. 2. 5. 13:00

 

📖 스티븐 킹, 그는 정말 괴팍한 사람일까?

나는 스티븐 킹이 약간 괴팍한 성격의 소유자라고 생각했다. 워낙 공포 소설로 유명한 사람이니 그의 생활이나 사상, 글쓰는 방식까지 좀 특이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책의 제목 『유혹하는 글쓰기』도 왠지 으스스하지 않은가?

 

📚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된 책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자서전적인 이야기를 담은 이력서, 글쓰기의 기본이 되는 연장통, 본론이라고 할 수 있는 창작론, 그리고 그가 글을 쓰는 이유를 밝힌 인생론이다.

 

이력서 부분을 읽으면서 "그래, 이 인간 좀 특이하다"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글을 읽어가면서 그 생각은 정말 '편견'일 뿐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 소설은 화석 발굴이다

"나는 소설이란 땅 속의 화석처럼 발굴되는 것이라고 믿는다. 소설은 이미 존재하고 있으나 아직 발견되지 않은 어떤 세계의 유물이다. 작가가 해야 할 일은 자기 연장통 속의 연장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유물을 최대한 온전하게 발굴하는 것이다."

 

이 말 속에 그의 창작 철학이 모두 담겨 있다. 사실, 그의 이러한 신념은 우리가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배운 '소설은 개연성 있는 허구'라는 정의와는 다르다.

 

나는 소설이란 독자를 그럴듯하게 속이는 '일종의 사기극'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킹은 그것을 '진실'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는 단지 자신의 연장으로 그것을 발굴해내고 사람들에게 보여줄 뿐이라고 말한다. 그의 글에 대한 열정은 순수하고, 글을 쓰는 태도는 교과서적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그의 소설 창작 작업은 '진지한 화석 발굴 작업'이기 때문이다.

✍️ 글쓰기의 진짜 목적은?

나는 무시무시하고 약간은 저속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그에게서 한 방 먹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지식이나 글솜씨를 자랑하고 싶어서, 때로는 돈을 벌기 위해서 혹은 다른 이들에게 인정받기 위해서 글을 쓰기도 한다. 나도 그랬다. 글을 쓰면서 스스로를 꾸미기 위해 얼마나 애썼던가.

책을 읽고 난 후 내 머릿속에는 계속 이런 말이 맴돌았다. "그래, 사람들은 진실을 알고 싶은 거야..."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도 '이 책은 과연 읽을 만한가?'라는 진실을 알고 싶어서 이 글을 읽고 있을 것이다.

 

📘 이 책은 작문 교과서가 아니다

이 책은 창작 교과서라기보다는 스티븐 킹의 자서전에 가깝다. 단지 그의 인생의 중심에 '글쓰기'가 있었을 뿐이다. 물론, 실질적인 글쓰기 요령도 포함되어 있다.

  • "수동태는 한사코 피해야 한다."
  • "부사는 여러분의 친구가 아니다."
  • "문단이 글쓰기의 기본 단위이다."
  • "플롯이나 주제보다는 스토리가 중요하다."
  • "많이 읽고 많이 써야 한다."

 

그러나 이 책은 체계적인 작문 교과서가 아니다. 만약 '유혹할 수 있는 뭔가'를 기대하며 책을 집어 들었다면, 실망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모든 작가들이 그와 같은 태도로 글을 쓴다면, 작가도, 독자도 훨씬 더 행복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스티븐 킹에 대한 기사

🎓 글쓰기의 핵심은 태도다

나는 가끔 학생들에게 이런 말을 한다. "공부는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라 태도로 하는 것이다." 성실하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공부를 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글도 마찬가지다.

 

천재성이나 요령보다는 '태도'가 더 좋은 글을 낳는 기본이 된다. 글 쓰는 사람이 어떤 태도로 백지 앞에 임해야 하는지를 스티븐 킹은 그의 인생 전체를 통해 깨달았고, 이 책을 통해 나누고 싶어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단순한 작문 교과서보다도 더 큰 영향력을 독자에게 미칠 것이다.

 

✨ 마무리 – 더 행복한 글쓰기를 위해

이 책은 글을 쓰는 모든 사람이 읽어야 한다. 자신의 글쓰기 태도가 불량한지, 혹은 좋은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스스로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책을 덮고 난 후, 더 행복하게 글을 쓰는 자기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320x100